
2019년도 첫 포럼 소식 공지드립니다!
지난 2014년 9월 첫 포럼을 시작으로 벌써 스물다섯번째 포럼입니다.
그동인 진행되어 온 포럼은 아래 쪽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각계의 전문가이신 발표자를 모시고 사랑방 같은 분위기에서 스물 다섯번의 포럼을 진행해 왔습니다.
연도별로 시즌을 나눠보자면 2019년은 시즌 6입니다.
시즌 6의 첫 포럼을 열어 주실 분은 작년 한 해 연구년 기간 동안
정말 열정적으로 연구를 하신 권오성 교수님을 모시고 제25차 해밀포럼을 진행할 예정입니다.
노동법 학자로서 열정을 불살랐던 권오성 교수님께서 "나는 왜 쓰는가 - 노동법리의 법적 논증의 실천"이라는 주제로
어떤 내용을 발표해 주실지 정말 기대가 됩니다.
뿐만 아니라 포럼에 참석해 주신 많은 분들이 어떠한 이야기를 나눠 주실지도 또한 기대가 되는데요!
2019년 첫 포럼인만큼 그동안 자주 뵈었던 분들 뿐만 아니라 자주 못 뵈었던 분들도 만나뵐 수 있기를 바래 봅니다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그동안 진행해 왔던 포럼 발표 목록입니다.
순번 | 일자 | 강연자 | 주제 |
1차 | 2014/9/12 | 박제성(한국노동연구원) | 근로자 대표론 |
2차 | 2014/10/10 | 신권철(서울시립대) | 정신질환과 노동 |
3차 | 2014/11/14 | 은수미(국회의원) | 노동에 대한 정치적 고민 |
4차 | 2014/12/12 | 김지형(해밀연구소 소장) | 노동판례 바로 읽기 |
5차 | 2015/3/13 | 김선수(법무법인 시민) | 노동소송실무를 통해 본 노동분쟁해결제도 개선 방안 |
6차 | 2015/5/15 | 박화진(노동부 국장) | 노동시장 구조개혁, 어떻게 볼 것인가 |
7차 | 2015/7/17 | 도재형 (이화여대 교수) | 기간제 근로계약과 고용보호법제 |
8차 | 2015/9/11 | 노중기(한신대 교수) | 한국 노동문제와 해결과제 – 종속적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의 형성 |
9차 | 2015/12/4 | 박상훈(법무법인 화우) | 개성공업지구의 노동규정 |
10차 | 2016/3/11 | 도재형(이화여대 교수) | 노동법의 미래 |
11차 | 2016/5/13 | 조돈문(카톨릭대 교수) |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 – 과제와 정책 대안 |
12차 | 2016/7/8 | 최은배(법무법인 LKB& Partners) | 고용노동부 시정명령제도의 부당성과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시행상 문제점 |
13차 | 2016/9/9 | 최만정(민주노총 지도위원) | 노동현장에서 본 노동법 이야기 |
14차 | 2016/12/9 | 김진(법무법인 지향) | 실무가의 노동법 공부, 어떻게 해야할까? |
15차 | 2017/3/24 | 장동환(변호사) | 차벌적 처우의 일고찰 – 기간제 근로자 차별 사례와 기타 차별 |
16차 | 2017/5/12 | 이정식(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) |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법 쟁점 |
17차 | 2017/7/14 | 김홍영(성균관대 교수) | 통상임금의 논쟁과 논증 |
18차 | 2017/10/20 | 하종강 (성공회대 교수) | 한국사회 노동문제의 불편한 진실 |
19차 | 2017/12/8 | 박귀천 (이화여대 교수) | 모(母)의 업무에 기인한 태아의 건강손상, 누가 책임질 것인가? - 생명, 젠더, 노동에 대한 질문 |
20차 | 2018/3/23 | 강성태 (한양대 교수) | 최저임금위원회 1년의 경험 |
21차 | 2018/5/18 | 정소연 외 3명 (변호사) | 국제노동기준 결정과정과 한국의 현실 - ILO 총회 참석 경험을 중심으로 |
22차 | 2018/7/13 | 이선옥 (작가) | 역지사지는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– 노동문제 기록자의 고민 |
23차 | 2018/9/14 | 박제성 (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) | 하청 노동론 : 노동계약의 도급계약화 현상에 대한 법학적 분석 |
24차 | 2018/12/14 | 권창영 (법무법인(유한) 지평) | 어선원의 직무 외 유족급여 청구권의 성립요건 -대법원 2018. 8. 30. 선고 2018두43774 판결- |